경력단절여성에서 미래 핵심역량을 육성하는 신직업인으로! (sba 신직업 Issue & Brief vol.2).pdf
<내용 요약>
“진짜 위험한 것은 컴퓨터가 사람처럼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컴퓨터처럼 생각하는 것이다”(Sydney J. Harris).
컴퓨터처럼 생각하지 않으려면, 미래 핵심역량은 무엇일까?
복잡한 문제해결 능력, 협업 등 사회적 기술, 적극적으로 정보를 얻어 합리적으로 추론하는 프로세스 기술, 시스템을 파악하여 최적의 조건을 찾는 시스템 기술 등이 미래 핵심역량으로 2016년 세계경제포럼 보고서에서 제시되었다.
반면 우리나라 학생들은 ‘사회적’ 맥락에 초점을 둔 문제해결력이 취약하다는 사실이 OECD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서 드러났다(2012).
학교 교육이 학교 밖과 연계되어 지역사회 속 실제문제와 유기적으로 연결될 때 미래 핵심역량이 양성될 수 있다.
필자는 ‘SBA 청소년 생각배움 지원사업: 지역사회기반 과학이슈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실무자로서 참여하며 미래 핵심역량을 육성하고, 동시에 일자리 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단초를 발견했다.
우리나라 여성경제활동참가율이 OECD 평균에서 현저히 낮은 상황에서 경력단절여성이 미래 핵심역량을 양성하는 신직업인으로 재탄생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채움 > 신직업 리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job Good for me” 나에게 좋은 직업을 찾아 떠나는 여행 (0) | 2018.06.08 |
---|---|
도시 생활자를 위한 신직업 안내서 (0) | 2018.06.04 |
경력단절여성에서 미래 핵심역량을 육성하는 신직업인으로! ("sba 신직업 Issue & Brief" vol.2) (0) | 2018.05.28 |
정익수 센터장의 홍콩일자리 엿보기 (0) | 2018.05.24 |
미래 일자리, 교육이 좌우한다 (0) | 2018.05.18 |
일자리 패러다임 변화와 새로운 직업의 출현 ("sba 신직업 Issue & Brief" 창간호) (0) | 2018.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