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지식 생태계를 지배할 힘 1 - 정보, 소수에서 모두에게
신직업 리포트 | 전문가 칼럼 기술과 혁신, 창의와 비즈니스, 인간과 행복을 주제로, 차두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 현상필 CJ파워캐스트 미디어사업 본부장, 홍정민 휴넷 에듀테크연구소 소장의 칼럼을 연재합니다. 빠르고 효율적인 지식 저장과 보관, 전달에 대한 욕망은 눈부신 기술 발전을 등에 없고 인간의 상상을 초월하는 단계로까지 실현되었다. 다가올 미래, 격변하는 정보와 지식 생태계 속에서 우리는 무엇에 집중하고 어떻게 중심을 잡아야 할까. 당대의 전문가, 타이피스트 그녀의 직업은 비서, 타이피스트, 속기사였다. 브룬힐데 폼젤(Brunhilde Pomsel). 이름과 직업보다는 히틀러의 오른팔이자 두뇌였던 요제프 괴벨스(Paul Joseph Goebbels)의 비서로 더 잘 알려진 인물이다. 제..
4차 산업혁명 시대 무엇을 어떻게 배워야 하는가? 1 - 디지털 리터러시는 필수이다
신직업 리포트 | 전문가 칼럼 기술과 혁신, 창의와 비즈니스, 인간과 행복을 주제로, 차두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 현상필 CJ파워캐스트 미디어사업 본부장, 홍정민 휴넷 에듀테크연구소 소장의 칼럼을 연재합니다. 정보의 바다에서 놀기만 할 것인가? ‘디지털 리터러시’란 “정보기술과 인터넷을 활용해 콘텐츠를 찾아내고, 평가하고, 공유하고, 창조하는 능력”을 말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인터넷을 지혜롭게 활용하는 자가 성공할 것이다. 새 시대 필요한 새 역량 산업화 시대가 되면서 책과 신문, 잡지 등의 매체가 보편화되고, 문서로 업무를 처리하기 시작하면서 읽고, 쓰는 문해력은 현대인들의 중요한 능력이 되었다. 즉, 말하고 듣는 능력이 뿐만 아니라 읽고, 쓰는 능력이 사회생활을 영위함에 있어 필수 요..